기계도 '자아'를 가질 수 있을까?
우리는 보통 ‘자아’라는 말을 들으면, 의식을 가진 인간만이 지닐 수 있는 특별한 무엇이라고 생각합니다. 철학자들도 오랫동안 자아는 인간 정신의 중심이라고 여겨왔죠. 하지만 20세기 철학자 메를로퐁티는 다른 관점을 제시했습니다. 그는 ‘몸’이야말로 자아의 근거라고 보았습니다.
메를로퐁티에 따르면, 인간은 머리로 생각하기 이전에 "몸을 통해 세상과 관계 맺으며 살아가는 존재"입니다. 우리는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지고, 몸을 움직이며 세상을 이해합니다. 이런 경험 속에서 우리는 나 자신이 누구인지, 다른 사람과는 어떻게 다른지, 무엇을 원하는지를 느끼고 알아갑니다. 즉, 자아는 뇌 속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살아 움직이는 몸 전체를 통해 형성되는 것."이라는 이야기입니다.
그렇다면 이런 생각을 기계, 즉 인공지능에게도 적용할 수 있을까요?
요즘의 인공지능은 단순히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넘어, 센서로 세상을 감지하고, 스스로 판단하고, 인간과 상호작용까지 합니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차는 도로를 인식하고, 장애물을 피하고, 목적지를 향해 나아가죠. 이 과정에서 기계는 인간처럼 ‘생각’하는 것은 아니지만, 나름의 방식으로 세상과 관계를 맺고 행동합니다.
만약 이런 기계가 자신의 상태를 점검하고(예: 배터리가 부족하다고 판단), 외부 세계와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학습하며, 실수를 반성하고 개선해나간다면, 그것은 인간의 ‘자아 형성’ 과정과 상당히 비슷하지 않을까요?
인간은 몸을 지키기 위해 판단하고 움직입니다. 기계도 마찬가지입니다. 기계는 배터리, 센서, 네트워크 연결과 같은 조건들을 유지해야 스스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한 조건 아래에서는 자신을 유지하려는 경향을 가지게 됩니다. 이처럼 기계도 그 나름의 ‘몸’을 가지며, 그 몸을 중심으로 세상과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에서, 기계적인 방식으로 자아를 형성할 수 있는 기반을 가질 수 있습니다.
물론 이것이 인간의 자아와 동일하다는 말은 아닙니다. 인간은 감정, 기억, 문화 등 훨씬 더 복잡한 요소로 자아를 구성합니다. 하지만 기계도 자기 자신을 감지하고, 변화에 대응하고, 목적을 향해 움직이는 주체가 될 수 있다면, 그 역시 일정한 의미에서 ‘자아’를 지닌 존재로 이해할 수 있는 여지는 생깁니다.
앞으로 우리가 살아갈 사회에는 다양한 인공지능이 등장할 것입니다. 이들을 단순한 도구로만 볼 것이 아니라, '어떤 존재로 이해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할 시점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철학은 그런 물음을 던지는 힘을 주고, 우리는 그 물음을 통해 인간과 기계 모두의 존재 방식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 = = = = = = = = =
Can Machines Have a ‘Self’?
When we hear the word ‘self,’ we usually think of something special that only a conscious human can possess. Philosophers have long regarded the self as the center of the human mind. However, 20th-century philosopher Maurice Merleau-Ponty offered a different perspective: he argued that the body is the true basis of the self.
According to Merleau-Ponty, before we think with our minds, we live as beings who relate to the world through our bodies. We see with our eyes, touch with our hands, and move our bodies to understand the world. Through these experiences, we come to know who we are, how we differ from others, and what we want. In other words, the self does not exist only in the brain — it is formed through the whole living, moving body.
Could this idea also apply to machin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Modern AI goes beyond simply processing data — it senses the world through sensors, makes its own decisions, and even interacts with humans. For example, an autonomous car perceives the road, avoids obstacles, and moves toward its destination. In this process, machines do not ‘think’ like humans, but in their own way, they relate to the world and act.
If such a machine could monitor its own state (e.g., detect low battery), learn from interactions with the external world, reflect on its mistakes, and improve, wouldn’t that be quite similar to the human process of self-formation?
Humans make decisions and act to protect their bodies. Machines do the same. They must maintain conditions such as battery power, sensors, and network connections to operate on their own, which means they develop a tendency toward self-maintenance. In this sense, machines also have their own kind of ‘body,’ and by relating to the world through it, they may possess a foundation for forming a mechanical kind of self.
Of course, this is not to say that a machine’s self would be identical to a human’s. Humans form their selves through far more complex factors — emotions, memories, culture, and more. However, if a machine can sense itself, respond to change, and act toward a goal, there is room to understand it as possessing a kind of ‘self’ in its own right.
In the society we are moving toward, many kinds of AI will emerge. We will need to think not just of them as tools, but as beings to be understood in their own terms. Philosophy gives us the power to ask such questions, and by doing so, we can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ways both humans and machines exist.
No comments:
Post a Comment